숄츠의 별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숄츠의 별은 2013년 랄프-디터 숄츠에 의해 발견된 연성계로, M형 적색 왜성 주성과 T형 갈색 왜성 부성으로 이루어져 있다. 약 7만 년 전 태양에서 52,000 천문단위(0.25 파섹) 떨어진 곳을 지나갔으며, 이로 인해 오르트 구름의 혜성 궤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. 숄츠의 별은 현재 태양계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, 약 9백만 년에 한 번 꼴로 태양에 근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WISE 천체 - WISE 0855−0714
WISE 0855-0714는 WISE 우주 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갈색 왜성으로, 태양으로부터 7.43 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낮은 온도와 특이한 대기 조성, 수증기, 메탄, 암모니아 등의 존재, 그리고 목성의 3~10배 정도의 질량을 가진 행성 질량 천체 또는 준갈색 왜성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는 천체이다. - WISE 천체 - WISE J224607.57-052635.0
- 2013년 발견한 천체 - WISE 0855−0714
WISE 0855-0714는 WISE 우주 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갈색 왜성으로, 태양으로부터 7.43 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낮은 온도와 특이한 대기 조성, 수증기, 메탄, 암모니아 등의 존재, 그리고 목성의 3~10배 정도의 질량을 가진 행성 질량 천체 또는 준갈색 왜성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는 천체이다. - 2013년 발견한 천체 - C/2013 A1
C/2013 A1은 2013년에 발견된 비주기 혜성으로, 2014년 화성에 근접 통과하여 화성 유성우를 일으키고 전리층에 변화를 준 혜성이다. - T형 항성 - ULAS1335
- T형 항성 - 2MASS J09393548-2448279
2MASS J09393548-2448279는 2005년 발견된 갈색왜성으로, 500K에서 700K 사이의 유효 온도와 25~40 목성 질량 사이의 질량을 가지며, 발견 당시 가장 어두운 갈색왜성이었다.
숄츠의 별 | |
---|---|
개요 | |
![]() | |
명칭 | 숄츠별 |
다른 이름 | WISE J072003.20-084651.2 WISE 0720-0846 2MASS J07200325-0846499 2MASS 0720-0846 |
별자리 | 외뿔소자리 |
적경 (J2000.0) | 07시 20분 03.254초 |
적위 (J2000.0) | -08도 46분 49.90초 |
겉보기 등급 | 18.3 |
특징 | |
종류 | 적색왜성과 갈색왜성의 쌍성계 |
스펙트럼 분류 | M9.5 + T5 |
시선 속도 | 82.4 km/s |
고유 운동 (적경) | -40.3 밀리초/년 |
고유 운동 (적위) | -114.8 밀리초/년 |
연주 시차 | 147.1 밀리초각 |
절대 등급 | 19.4 |
구성 요소 (적색 왜성) | |
스펙트럼형 | M9.5±0.5 |
질량 | 0.095 태양 질량 |
반지름 | 0.992 목성 반지름 |
나이 | 30억–100억 년 |
구성 요소 (갈색 왜성) | |
스펙트럼형 | T5.5±0.5 |
질량 | 0.063 태양 질량 |
반지름 | 0.822 목성 반지름 |
궤도 요소 | |
짝별 | 숄츠별 A |
주기 | 8.06 년 |
긴반지름 | 0.320 각초 (2.173 천문단위) |
이심률 | 0.240 |
궤도 경사 | 106.9 도 |
승교점 경도 | 240.21 도 |
근성점 통과 시기 | 2015년 9월 16일 |
근일점 인수 | 1 도 |
2. 특징
숄츠의 별은 M형 적색왜성과 T형 갈색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. 실시등급은 18.3으로 매우 어둡고,[16] 나이는 30억에서 100억 년 정도로 추정된다.[16] 연주시차는 166 밀리각초(0.166 각초)이다.[19] 고유운동이 큰 천체에 대한 관측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, 숄츠의 별은 비교적 늦게 발견되었다.
2. 1. 구성 천체
숄츠의 별은 항성 두 개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. 주성은 약 의 M형 적색왜성이며,[16][10] 부성은 약 의 T형 갈색왜성으로 추정된다.[16][10] 연성계의 총 질량은 약 0.15 태양질량이다.[16][10]주성과 부성은 약 0.8 천문단위(1억 2000만 킬로미터) 정도의 거리에서 서로 공전한다.[16] 주기는 약 4년이다.[14] 실시등급은 18.3이고,[16][10] 나이는 30억에서 100억 년 정도로 추산된다.[16][10] 연주시차는 166 밀리각초(0.166 각초)이다.[19][12]
2. 2. 궤도 및 물리적 특징
숄츠의 별은 쌍성계로, 주성과 부성으로 이루어져 있다. 주성은 목성질량의 86±2배에 해당하는 질량을 가진 M형 적색왜성이며,[16] 부성은 목성질량의 65±12배 질량을 가진 T형 갈색왜성으로 추정된다.[16] 이 쌍성계의 총 질량은 태양질량의 0.15배이다.[16]주성과 부성은 약 0.8 천문단위(AU) 거리에서 서로 공전하고 있다.[16] 숄츠의 별의 실시등급은 18.3등급으로 매우 어둡다.[16] 숄츠의 별의 나이는 3억 년에서 100억 년 사이로 추정된다.[16] 연주시차는 166밀리각초(0.166각초)이다.[19] 고유운동이 큰 천체에 대한 관측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, 숄츠의 별은 비교적 늦게 발견되었다.
3. 태양계 접근
숄츠의 별은 약 7만 년 전 태양에서 52000AU 떨어진 곳을 지나갔다.[1][20] 이는 장주기 혜성이나 비주기 혜성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오르트 구름의 바깥 영역에 해당한다. 2018년 연구에 따르면, WISE J0720-0846AB는 80.5 ± 0.7 kyr 전에 태양으로부터 68.7 ± 2.0 kAU 이내로 접근했다.[8] 최신 태양계 데이터를 이용해 다시 계산한 결과, 근일점 거리는 중앙값 0.330 pc였으며, 0.317~0.345 pc 이내로 접근할 확률이 90%였다. 근일점 통과 시간은 78.6~81.1 kyr 전으로 추정되며, 가장 가능성이 높은 값은 79.9 kyr이다.[9]
3. 1. 접근 당시 상황
숄츠의 별은 약 70,000년 전 태양에서 52000AU 떨어진 곳을 지나갔다.[16][20] 시뮬레이션 결과 이 쌍성계가 태양에서 120000AU 이내에 들어왔을 확률은 98%였다.[16] 가장 가까이 왔을 때 숄츠의 별의 실시등급은 11.4 등급이었을 것이다.[18] 숄츠의 별은 100,000년에 한 번씩 오르트 구름을 주기적으로 지나가며,[18] 태양에서 52000AU 이내까지 접근하는 일은 9백만 년에 한 번 꼴로 일어날 것으로 추측된다.[16]3. 2. 오르트 구름에 미친 영향
숄츠의 별이 오르트 구름에 섭동을 일으켜, 이로 인해 발생한 혜성들이 약 200만 년에 걸쳐 태양계 내부로 진입했을 가능성이 있다.[16] 숄츠의 별은 10만 년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오르트 구름을 지나가는 것으로 추측되며,[18] 태양에서 52,000 AU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는 900만 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.[16]2018년에는 오르트 구름에 대한 교란이 초기 연구에서 제시된 것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.[5]
4. 발견
포츠담 천체물리 연구소(AIP)의 천문학자 랄프-디터 숄츠(Ralf-Dieter Scholz)가 이 천체를 발견했다.[20] 2013년 11월, 랄프-디터 숄츠는 이 천체가 태양 인근의 항성임을 발견하여 arXiv에 발표했다.[3] 이후 에릭 마마젝(Eric Mamajek)과 연구진들이 이 시스템을 숄츠의 별(Scholz's star)로 명명했다.[10]
5. 기타
참조
[1]
논문
VizieR Online Data Catalog: 2MASS All-Sky Catalog of Point Sources (Cutri+ 2003)
http://vizier.u-stra[...]
[2]
Simbad
2MASS J07200325-0846499
2015-02-18
[3]
뉴스
Featured Research: Closest known flyby of star to our solar system: Dim star passed through Oort Cloud 70,000 years ago
https://www.scienced[...]
Science Daily
2015-02-17
[4]
논문
An Independent Confirmation of the Future Flyby of Gliese 710 to the Solar System Using ''Gaia'' DR2
2018-05-10
[5]
논문
Where the Solar system meets the solar neighbourhood: patterns in the distribution of radiants of observed hyperbolic minor bodies
2018-02-06
[6]
웹사이트
Prehistoric visit from nearby star disturbed comets in our solar system
https://www.science.[...]
2023-04-09
[7]
웹사이트
A Visiting Star Jostled Our Solar System 70,000 Years Ago
https://gizmodo.com/[...]
2023-04-09
[8]
논문
WISE J072003.20-084651.2B is a Massive T Dwarf
2019-10-10
[9]
논문
The Closest Past Flyby of a Known Star to the Solar System: HD 7977, UCAC4 237-008148 or WISE J072003.20-084651.2?
2022-07-28
[10]
논문
The Closest Known Flyby of a Star to the Solar System
[11]
웹사이트
FAQ
http://www.pas.roche[...]
2015-02-18
[12]
웹사이트
THE ONE HUNDRED NEAREST STAR SYSTEMS
http://recons.org/TO[...]
RECONS (Research Consortium On Nearby Stars)
2015-02-18
[13]
논문
WISE J072003.20-084651.2: an Old and Active M9.5 + T5 Spectral Binary 6 pc from the Sun
[14]
논문
Radio Emission and Orbital Motion from the Close-encounter Star–Brown Dwarf Binary WISE J072003.20–084651.2
[15]
웹인용
2MASS J07200325-0846499 -- Brown Dwarf Candidate
http://simbad.u-stra[...]
SIMBAD
2015-02-18
[16]
저널
The Closest Known Flyby of a Star to the Solar System
[17]
문서
Burgasser, Adam J.; Gillon, Michaël; Melis, Carl; Bowler, Brendan P.; Michelsen, Eric L.; Bardalez Gagliuffi, Daniella; Gelino, Christopher R.; Jehin, E.; Delrez, L.; Manfroid, J.; Blake, Cullen H. (2015). "WISE J072003.20-084651.2: an Old and Active M9.5 + T5 Spectral Binary 6 pc from the Sun". The Astronomical Journal '''149''' (3): 104. arXiv:[https://arxiv.org/abs/1410.4288 1410.4288]. Bibcode:[http://adsabs.harvard.edu/abs/2015AJ....149..104B 2015AJ....149..104B]. doi:[https://dx.doi.org/10.1088%2F0004-6256%2F149%2F3%2F104 10.1088/0004-6256/149/3/104].
[18]
웹인용
FAQ
http://www.pas.roche[...]
2015-02-18
[19]
웹인용
THE ONE HUNDRED NEAREST STAR SYSTEMS
http://recons.org/TO[...]
RECONS (Research Consortium On Nearby Stars)
2015-02-18
[20]
뉴스
Featured Research: Closest known flyby of star to our solar system: Dim star passed through Oort Cloud 70,000 years ago
http://www.scienceda[...]
Science Daily
2015-02-17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